패킷 필드 값이 변하는 과정 with ICMP

호스트끼리 ICMP 메세지를 송/수신할 때,
각 장비마다 패킷의 필드 값은 어떻게 바뀔까.

테스트 토폴로지
  • 각 장치 별 MAC Address

VPC3 – 00:50:79:66:68:03
R1 fa0/0 – CA:01:0E:51:00:00
R1 fa1/0 – CA:01:0E:51:00:1C
R2 fa1/0 – CA:02:18:3A:00:1C
R2 fa0/0 – CA:02:18: 3A:00:00
VPC4 – 00:50:79:66:68:04

  • 테스트 조건
  1. VPC들은 각자 G/W 아는 상태
  2. OSPF로 라우팅 구성
  3. ICMP 메세지 전송 (VPC3 –> VPC4)

  1. VPC3 -> R1
  2. R1 -> R2
  3. R2 -> VPC4

1. VPC3 -> R1 구간

이 네트워크 구간에는 SW, R1 fa0/0의 패킷을 확인한다.

1-1. SW에서 패킷 캡처

1-1. SW에서 캡처한 패킷

VPC3에서 VPC4로 ping을 시도할 때, 데이터가 VPC3의 게이트웨이(R1)로 전송된다. VPC3, VPC4는 서로 다른 망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VPC3 — R1> 구간은 하나의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MAC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전송한다.

시간: 15:49:59.770248000
출발지 MAC: VPC3가 ping을 시도하므로 VPC3의 MAC
목적지 MAC: VPC3의 Gateway인 R1 fa0/0의 MAC
출발지 IP: VPC3의 IP
목적지 IP: VPC4의 IP

1-2. R1 fa0/0에서 패킷 캡처

1-2. R1 fa0/0에서 캡처한 패킷

시간을 제외하면 패킷 1-1과 다른 점은 없다.
TTL 값은 라우터 하나를 지날 때 1 씩 감소된다.

2. R1 -> R2 구간

이 네트워크 구간에는 R1 fa1/0, R2 fa1/0의 패킷을 확인한다.

2-1. R1 fa1/0에서 패킷 캡처

2-1. R1 fa1/0에서 캡처한 패킷

R1은 라우팅 테이블을 참고하여, R2로 데이터를 보낸다.
이 데이터가 R1을 지나기 때문에 TTL = TTL-1 이다.

시간: 15:49:59.779120000
출발지 MAC: R1 fa1/0의 MAC
목적지 MAC: R2 fa1/0의 MAC
출발지 IP: VPC3의 IP
목적지 IP: VPC4의 IP
TTL: 63

2-2. R2 fa1/0에서 패킷 캡처

2-2. R2 fa1/0에서 캡처한 패킷

R2 fa1/0에서 받은 데이터는 R1 fa1/0에서 보낸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갖고 있다.

3. R2 -> VPC4 구간

이 네트워크 구간에는 R2 fa0/0의 패킷을 확인한다.

3-1. R2 fa0/0에서 캡처한 패킷

시간: 15:49:59.789373000
출발지 MAC: R2 fa0/0의 MAC
목적지 MAC: VPC4의 MAC
출발지 IP: VPC3의 IP
목적지 IP: VPC4의 IP
TTL: 62

R2를 지나므로 TTL = TTL -1 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