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r] EIGRP: SIA 방지

Stuck In Active
EIGRP 라우터가 인접 Neighbor로부터 Query에 대한 Reply를 받지 못한 상태를 Active 상태라고 하는데, 이 상태가 지속되는 현상을 만한다.
최대 180초 동안 Reply 수신되기를 기다리다가 180초가 지나면 Reply를 보내지 않은 라우터와 Neighbor 관계를 해지한다.

자, 아래와 같은 토폴로지를 보도록 하자.

R1 → R4로  Query를 보냈지만,  R4는 Reply를 보내지 않는 상태.

이 경우엔 R1, R2, R3 모두 R4의 Reply를 기다린다. 이런 과정이 여러 번 반복되면 네트워크가 불안정해진다.

R4 입장에서 Reply를 보내지 못하는 이유는 ‘R3 – R4 간 링크’의 트래픽이 과다하거나 잘못 설정한 것 등등 라우터에 부하가 걸려 보내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SIA 방지 대책

1. SIA 타이머 조정

SIA 현상에 의해 Neighbor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 한다. Reply Hold 시간을 늘려서 Neighbor 관계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장애가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의 대체 경로가 있어도 Reply Hold 시간이 길어졌기 때문에 대체 경로를 라우팅에 저장시키는 시간도 늘어난다. (=컨버전스 시간이 길어진다.)

[설정]

Router(config)# router eigrp <AS>
Router(config-router)# timers active-time [1-65535]

2. Query Scoping

Query 패킷이 적당한 선에서 멈추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Query 패킷을 받은 것과 동일 네트워크가 Topology table에 존재하지 않으면 패킷을 전파하지 않는다.

2-1. 네트워크 축약에 의한 Query Scoping

R2에서 네트워크 축약을 통해 R3로 10.0.0.0/16 정보를 전송했다.
이후 R1이 R3로 10.0.0.0/24에 대한 EIGRP Query를 보내면 R3가 해당 Query를 무시한다.

[설정]

Router(config)# int <INTERFACE>
Router(config-if)# ip summary-address eigrp <AS> <SUMMARY_IP> <SUBNETMASK>

2-2. 재분배에 의한 Query Scoping
EIGRP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EIGRP Query 패킷은 EIGRP 라우터끼리만 주고받기 때문이다.

2-3. Stub에 의한 Query Scoping
Stub 라우터로는 EIGRP Query를 보내지 않는다.  나머지 Update, Ack, Reply는 보낸다. Stub 라우터는 직접 접속된 네트워크와 축약된 네트워크 정보만 neighbor로 전송한다.

[설정]

Router(config)# router eigrp <AS>
Router(config-router)# eigrp stub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