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licing 이란, 트래픽의 최대 속도를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대역폭에 여유가 있어도 최대 속도를 넘기면 해당 트래픽을 폐기한다.
– Input Policing: 패킷 입력(수신) 시 적용하는 Policing
– Output Policing: 패킷 출력(송신) 시 적용하는 Policing, 지원하지 않는 스위치도 있다고 한다.
1. Policing 설정
2. DSCP 마크다운
1. Policing 설정

Switch(config)# mls qos Switch(config)# Switch(config)# policy-map <POLICY_NAME> Switch(config-pmap)# class [ <CLASS_MAP_NAME> | class-default ] Switch(config-pmap-c)# police <LIMITED_BPS> <Bc> Switch(config-pmap-c)# exit Switch(config-pmap)# exit Switch(config)# Switch(config)# int <INTERFACE> Switch(config-if)# service-policy input <POLICY_NAME>
5: ‘<CLASS_MAP_NAME>‘은 class-map을 통해 지정한 트래픽에 적용하고, ‘class-default‘는 모든 트래픽에 적용한다.
6: ex) police 1000000 31250
‘<LIMITED_BPS>‘의 단위는 bps이다.
‘<Bc>’는 단위시간(Tc)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트래픽 양이다. Byte 단위이며, 장비마다 최소/최대 BC값이 다르다.
Bc 와 Tc
– Bc : Burst Committed, 패킷을 담는 버킷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CIR : Committed Information Rate, 폴리싱 속도.
– Tc : 단위시간, Bc를 다 채우는 시간
‘Bc = (CIR * Tc) / 8‘ 이라는 공식에 따라 동작한다.
최대 트래픽 양(Bc)이 동일하다고 할때, 폴리싱 속도(CIR)가 커질수록 단위시간(Tc)는 작아진다.
2. DSCP 마크다운
Policing에서 최대 속도를 초과하는 프레임은 폐기한다고 했다. 하지만, 이러한 프레임을 폐기하는 대신 ‘policed-dscp map’을 참고하여 DSCP 값을 변경하는 것을 ‘DSCP 마크다운’이라고 한다.
설정
Switch(config)# policy-map <POLICY_NAME> Switch(config-pmap)# class [ <CLASS_MAP_NAME> | class-default ] Switch(config-pmap-c)# police <LIMITED_BPS> <Bc> exceed-action policed-dscp transmit
policed-dscp map 확인
Switch# show mls qos maps policed-ds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