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말 그대로 동적으로 호스트 IP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프로토콜.
1. DHCP 동작과정
2. DHCP Relay Agent
1. DHCP 동작과정

① PC는 DHCP 서버를 찾기 위해 DHCP DISCOVER 메세지를 Broadcast한다.
– 출발지: 0.0.0.0
– 목적지: 255.255.255.255 / udp 67
– 본인의 MAC주소를 포함하여 보낸다.
② DHCP 서버는 IP를 제안하기 위해 DHCP OFFER 메세지를 Broadcast한다.
– 출발지: DHCP 서버의 IP
– 목적지: 255.255.255.255
–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IP, Subnet, GW, DNS, IP 임대 시간,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MAC을 포함하여 보낸다.
③ PC는 OFFER 메세지로 받은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 DHCP REQUEST 메세지를 Broadcast한다.
– 출발지: 0.0.0.0
– 목적지: 255.255.255.255
– 서버 IP를 알아도 Broadcast로 보내는 이유는 다른 DHCP서버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④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락하기 위해 DHCP ACK를 Broadcast한다.
– 출발지: DHCP 서버의 IP
– 목적지: 255.255.255.255
2. DHCP Relay Agent
DHCP 서버가 항상 같은 망에 속해있으리란 보장은 없다.
서로 다른 망이라면 L3장비에서 Relay Agent를 설정해야한다.

[ DHCP 서버가 1대인 경우]
Router(config)# service dhcp Router(config)# int <INTERFACE_CONNECTD_BY_CLIENT> Router(config-if)# ip helper-address <DHCP_SERVER_IP>
[ DHCP 서버가 여러대인 경우 ]
#수동으로 서버 지정 Router(config)# int <INTERFACE_CONNECTD_BY_CLIENT> Router(config-if)# ip helper-address <DHCP_SERVER_IP_1> Router(config-if)# ip helper-address <DHCP_SERVER_IP_2> #자동으로 서버 지정 Router(config)# ip helper-address <DHCP_BROADCAST_IP> Router(config)# int <INTERFACE_CONNECTD_BY_CLIENT> Router(config-if)# ip directed-broadc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