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ernet Frame Format

네트워크에 몸 담고 있거나, 관련된 사람이라면 다들 ‘이더넷’이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네트워크를 배울 때면, ‘Ethernet’이란 단어는 어딜가나 빠지지 않았던 것 같다.

스위칭에 대해 알아보기 전 먼저, 간단히 Ethernet 프레임에 대해 알아보자.


Ethernet 프레임 포멧

Preemble (7 Byte)

– 값: 10101010
– 수신측에게 Ethernet Frame이 전송된다는 것을 알리고, 이후 도착할 Ethernet Frame에서 0과 1을 구분할 수 있도록 동기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

SOF; Start Of Frame (1 Byte)

– 값: 10101011
– 프레임의 시작을 알린다. Ethernet Frame의 크기를 나타낼 때, Preemble과 SOF는 제외한다.

Destination MAC Address (6 Byte)

– 값: 목적지 MAC 주소
– 앞 24비트(3Byte)는 회사 코드(OUI)라고 하며, 뒷 24비트는 자체 부여하는 일련번호이다. 그래서 고유한 MAC 주소를 갖을 수 있는 것이다.
1대1 통신에서 사용하는 유니캐스트 주소, 1대 특정N 통신에서 사용하는 멀티캐스트 주소, 1대 N 통신에서 사용하는 브로드캐스트 주소 중 하나가 표시된다.

Source MAC Address (6 Byte)

– 값: 출발지 MAC 주소
– 출발지 이더넷 포트의 MAC주소가 표시된다.

Length/Type (2 Byte)

– 값: 1500(0000 0101 1101 1100)이하, 프레임의 Data Field 길이.
1536(0000 0110 0000 0000)이상, Ether Type(MAC Client Protocol).
–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필드 길이나 MAC 클라이언트 프로토콜의 종류를 표시한다.
Ether Type 값 확인하기

Data (46 Byte ~ 1500 Byte)

– 값: 데이터 내용, 만일 최소 46 Byte를 충족하지 않는다면, Padding하여 46 Byte로 만든다.
** Padding이란, 최소 데이터를 맞추기 위해 무의미한 정보를 넣는 것이다.
0으로 채워진다.

FCS; Frame Check Sequence (4 Byte)

– 값: 프레임 내 데이터를 기본으로 출발지 노드에서 계산된 숫자.
– Frame의 Field(Destination MAC ~ Data)에서 에러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