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ocol] PPP 1: 개념

The Point-to-Point Protocol

앞서 포스팅했던 SLIP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나온 프로토콜이다.
이름에서부터 1대1 통신할 때에 쓰일 것 같다는 냄새를 풍긴다.

PPP는 IP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을 전송하는 것도 지원하기 위해 완전한 2계층 연결 기능을 갖춘 프로토콜로 개발했다.
IETF에서 PPP를 만들 때, 새로운 아키텍처로 정의해서 만드는 대신 HDLC를 토대로 만들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첫 공식 문서는 RFC1134, 첫 표준 문서는 RFC1171이다.)

┌─ PPP의 특징
├─ PPP의 장점
├─ PPP의 주요 구성 요소 ┬ PPP캡슐화
│                                      ├ LCP; Link Control Protocol
│                                      └ NCP; Network Control Protocol
├─ PPP 기능 그룹 ┬ LCP 지원 프로토콜
│                           └ LCP 선택적 기능 프로토콜
└─ PPP 동작 방식

[PPP의 특징]

– 연결형 프로토콜

– 동기식/비동기식 회선 지원

– Half-Duplex / Full-Duplex 지원

* Half-Duplex (반이중 전송방식): 양쪽 방향으로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한 번에 하나의 전송만 이루어진다.
* Full-Duplex (전이중 전송방식):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하다.

[PPP의 장점]

어떻게 보면 SLIP의 단점이 곧 PPP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SLIP에서 사용되던 단일 END 문자 방식보다 포괄적인 프레이밍 방식을 사용하고, CRC 코드를 통해 각 프레임의 에러를 탐지할 수 있다.

통신 과정 수립 전  인증을 설정할 수도 있고,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암호화 할 수도 있다.

[PPP의 주요 구성 요소]

PPP의 주요 구성으로 크게 3 요소가 있다.

  • PPP 캡슐화 방법
    PPP의 주작업은 상위 계층의 메세지를 받아서 하위 계층(물리계층)으로 전송하는 것인데, 이 때 캡술화를 한다.  이러한 캡슐화를 위해 (HDLC에 기반된) 특수 프레임 포맷을 정의한다.
  • LCP
    Link Control Protocol의 약자.
    LCP는 장비 간 링크 수립, 유지, 종료를 책임진다.
  • NCP
    Network Control Protocol의 약자.
    LCP에서 링크 수립을 완료하면  NCP로 제어가 넘어간다. 이 때, PPP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3계층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NCP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3계층 프로토콜과는 독립적인 프로토콜이다.

[PPP 기능 그룹]

  • LCP 지원 프로토콜
    링크 협상 단계 과정에서 관리 및 옵션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선택적 인증과정에 CHAP, PAP를 줄 중 하나 설정하는 것이다.
  • LCP 선택적 기능 프로토콜
    링크 수립 후 Datagram이 장비 간 전송될 때, 동작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를 압축하는 CCP,데이터를 암호화하는 ECP, 여러 물리링크를 하나의 링크로 동작하게 하는 MP가 있다.

[PPP 동작 방식]

링크 수립 및 구성 → 링크 동작 → 링크 종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