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ub Area ]
Stub Area는 ABR과 연결된 내부 Area인데 “Type 4 ASBR Summary LSA”와 “Type 5 AS External LSA”를 차단한 Area이다.
즉, 다른 Area에 있는 ASBR의 정보와 재분배된 라우팅 정보(OSPF와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의 정보)를 Default Routing으로 퉁쳤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Stub Area를 설정하게 되면 기본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LSA 광고량이 감소하고, 라우팅 테이블을 최적화 시킬 수 있다.
Stub Area를 설정하게 되면 라우팅 테이블에 있는 E1, E2 경로는 차단되고, 대신 *IA 경로로 바뀐다.
R1(config)# router ospf 1 R1(config-router)# area 5 stub R5(config)# router ospf 1 R5(config-router)# area 5 stub
그러나 4가지 주의사항이 있다.
① 백본 Area 0은 Stub Area로 사용할 수 없다.
⇒ 만약 백본 Area가 Summary된다면, 다른 라우터들은 라우팅 경로를 물어볼 수 없게 된다.
② Virtual-Link가 구성된 Transit Area는 Stub Area로 구성할 수 없다.
⇒ 모든 Area는 백본 Area 0과 직접 연결되어있어야 한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연결할 수 없는 Area들이 있다. 이 때, Virtual-Link를 구성해 논리적으로 백본 Area와 연결시킨다. Virtual-Link를 통해 지나가게 되는 Area를 Transit Area라고 한다.
③ Area 내부에 ASBR이 있으면 Stub Area를 구성할 수 없다. 단, NSSA Area에서는 가능하다.
⇒ Stub Area 자체가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을 Default로 변환하기 때문에 경로 설정에 문제가 된다.
④ Stub Area에 포함된 라우터는 Stub설정을 해야 Neighbor를 성립할 수 있다.
[ Totally Stub Area ]
기존 Stub Area에서 Type 3 Network Summary LSA도 막은 Area이다. 다른 OSPF Area 정보도 안받는 것이다. 단, 시스코 장비에서만 사용가능하다.
R1(config)# router ospf 1 R1(config-router)# area 5 stub no summary R5(config)# router ospf 1 R5(config-router)# area 5 stub
Stub Area와 Totally Stub Area를 비교하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Totally Stub Area가 Stub Area보다 LSA 정보 하나 더 요약하면 Totally Stub Area를 쓰는게 무조건 좋은거 아닌가?
라는 고민에 빠졌다..
그래서 X전따 카페에.. 자문을 구한 결과, 실제로 Cisco 장비만 사용한다면 Stub Area보다 Totally Area를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정성, 성능, 장애처리도 편하다고 한다.
=============================================
[ NSSA Area ]
Not-So-Stubby Area
Stub Area에서는 Type4, Type5 LSA 광고를 막기 때문에 외부 네트워크 경로 산출을 하지 않는다.
백본 Area가 아닌 Area에 ASBR이 위치하면 ASBR 외부의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로 경로가 광고 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SSA Area를 사용한다.

위 토폴로지를 보면 Area 5는 R1을 통해서만 ospf 정보를 주고 받고, 다른 Area와는 연결되있지 않다. 즉, Stub Area의 조건을 충족한다.
하지만 하필 R5에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이 설정되어있다.
이처럼 Stub Area를 충족하는데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을 받아들여야할 때, NSSA Area를 사용한다.

NSSA Area에서 ASBR은 외부 라우팅 정보를 Type 7 LSA로 광고한다.
왜냐면 Type 5 LSA는 막히기 때문이다. (Stub Area처럼)
R5에서 EIGRP 정보를 Type 7로 광고하면 R1은 다시 Type 5로 변환하여 광고한다.
R1(config)# router ospf 1 R1(config-router)# area 5 nssa [default-information-originate] R5(config)# router ospf 1 R5(config-router)# area 5 nssa
Type 7 LSA로 선출된 라우팅 경로는 N2 이다.
[ NSSA Totally Area ]
Totally Stub Area와 NSSA Area의 만남.
Type 3,4,5 LSA를 수신하지 않는다.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 정보는 Type 7을 사용한다.
R1(config)# router ospf 1 R1(config-router)# area 5 nssa no-summary R5(config)# router ospf 1 R5(config-router)# area 5 ns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