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A? 넌 뭐니?
OSPF에서 라우팅 정보를 주고 받는다는 건 OSPF 링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주고 받는다는 의미이다. 이 정보(광고)를 LSA라고 한다. 주로 DDP 패킷과 LSU 패킷에 같이 포함되어 전달된다.
LSA Types
LSA 타입은 11가지가 있지만, 실제 사용되는 타입은 1~5, 7로 총 6개의 LSA 타입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고 한다. 이 LSA 타입마다 내용이나 플러딩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LSA타입에 대해 정확히 알아둬야할 필요가 있다.
[LSA 타입]
┌ Type 1: Router LSA
├ Type 2: Network LSA
├ Type 3: Network Summary LSA
├ Type 4: ASBR Summary LSA
├ Type 5: AS External LSA
├ Type 6: Multicast OSPF LSA
├ Type 7: NSSA External LSA
├ Type 8: External Attribute LSA
├ Type 9: –
├ Type 10: –
└ Type 11: –
Type 1: Router LSA
– LSA를 생성하는 라우터: 모든 라우터
– LSA를 받는 라우터 범위: 동일 Area 안에 위치한 모든 라우터
– Link State ID: LSA를 생성한 라우터의 Router-id
– LSA 내용: 자신과 연결된 Link의 정보
이 LSA를 수신한 라우터는 자신의 LSDB에 저장한다. 이 LSDB를 기반으로 선출된 라우팅 경로는 라우팅 테이블에 ‘O’ 라고 표기된다.
Type 2: Network LSA
– LSA를 생성하는 라우터: DR
– LSA를 받는 라우터 범위: 동일 Area 안에 위치한 모든 라우터
– Link State ID: DR의 인터페이스 IP
– LSA 내용: DR과 연결된 라우터의 Router-id의 정보
Type 3: Summary LSA (Network Summary LSA)
– LSA를 생성하는 라우터: ABR
– LSA를 받는 라우터 범위: 자신의 Area에 있는 라우터
– Link State ID: 다른 Area의 네트워크 ID
– LSA 내용: 다른 Area에 대한 LSA 정보
Type 4: ASBR Summary LSA
– LSA를 생성하는 라우터: ABR
– LSA를 받는 라우터 범위: 자신의 Area에 있는 라우터
– Link State ID: 다른 Area에 있는 ASBR의 Router-id
– LSA 내용: 다른 Area에 있는 ASBR의 Router-id와 ASBR까지의 Cost값
Type 5: AS External LSA
– LSA를 생성하는 라우터: ASBR
– LSA를 받는 라우터 범위: OSPF를 사용하는 라우터
– Link State ID: OSPF가 아닌 외부 네트워크 ID
– LSA 내용: OSPF를 사용하지 않는 외부 네트워크의 정보
Type 7: NSSA External LSA
– LSA를 생성하는 라우터: NSSA ASBR
– LSA를 받는 라우터 범위: NSSA ABR
– Link State ID: NSSA ASBR에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 ID
– LSA 내용: NSSA ASBR에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의 정보
===================================================
LSA를 받는 라우터의 범위를 보면 ‘동일 Area에 있는 라우터’와 ‘자신의 Area에 있는 라우터’가 있다. 생각하는 관점에 따라 같은 의미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살짝 다른 의미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므로 구별하여 정리했다.
‘동일 Area에 있는 라우터’는 말 그대로 그 LSA가 속한 Area에 광고된다는 의미이다.
‘자신의 Area에 있는 라우터’는 LSA를 다른 Area에서 받고 그걸 중계(?)해줘서 라우터 자신의 Area로 광고한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