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ualbox에 NX OS 구성하기

Ansible로 네트워크 자동화 실습을 위해 nx os를 virtualbox로 구성해야하는 상황이 왔다..
다행히 시스코 문서에서 가이드가 안내되어있다.
근데 따라하다보면 이상하리 이상한 부분이 있는데..

우선, 시작해보자.
간략하게 요약하면
1. NXOS 파일 다운 (참고:  Cisco )
2. Virtualbox에서 nx os를 위한 환경 만들기
3. Virtualbox에서 nx os를 위한 환경 설정하기
4. 부팅하기
(말은 쉽지..)

===================================================

[Virtualbox에서 nx os 환경 만들기]

  1. 새로 만들기 > 이름: 가상머신 이름(본인은 nx9k로 했다.)
    종류/버전: Linux / Other Linux(64-bit)
  2. 메모리 크기 > 8192MB
    (참고로 nx os의 메모리 권장사양은 8GB다.. 이거하려고 32기가로 올린건.. 안자랑이다..)
  3. 하드 디스크 > “기존 가상 하드 디스크 파일 사용” 선택
    하드 디스크 선택기를 열고, 다운한 nxos vmdk파일을 선택하자.
  4. 만들기.

[Virtualbox에서 nx os 환경 설정하기]

  1. 저장소
    아까 우리는 환경을 만들면서 이미 IDE에 하드디스크를 추가했다.
    근데 문서에서 SATA로 하나 더 추가하라고 하니 추가해보자.

    저장소 추가하기 #1
    저장소 추가하기 #2
    저장소 추가하기 #3 (아까 선택한 vmdk파일을 다시 선택)

    저장소 추가하면 아래 경고문구가 뜬다.

    시스코 문서에는 삭제하란 이야기는 없고 추가하란 이야기만 있는데,,  일단, IDE에 등록된 저장소를 삭제하자

  2. 시스템

    – 부팅순서: 하드디스크를 1순위로, 나머지는 부팅안하게 설정
    – ‘EFI 사용하기’ 체크

    – 프로세서 개수: 2개
    – ‘네스티드 VT-x/AMD-V 사용하기’ 체크
  3. 오디오
    ‘오디오 사용하기 체크’해제
  4. 네트워크

    – 포트포워딩 > 이름: ssh / 호스트 포트: 2222 / 게스트 포트: 22
  5. 직렬 포트

    – ‘직렬 포트 사용하기’ 체크
    – 포트 모드: 호스트 파이프
    – ‘존재하는 파이프/소켓에 연결’ 체크 해제
    – 경로/주소: \\.\pipe\COM1
    (COM1 대신 다른 이름 써도 무방하다.)

최종 완성!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